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롱 코리아/2018-19시즌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질롱 코리아 2018-19 시즌 성적
순위승차승률
4 / 4[1]73317.00.175

1. 개요
2. 선수단
2.1. 코치진
2.2. 투수
2.3. 포수
2.4. 내야수
2.5. 외야수
3. 시즌 전 평가
5. 전적
5.1. 팀별 전적
5.2. 월별 전적
6. 그 외



1. 개요[편집]


호주 프로야구 리그의 한국 팀인 질롱 코리아의 원년 시즌인 2018-19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선수단[편집]


||
[ 펼치기 · 접기 ]

#bb2848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1164d><colcolor=#FFF><width=20%> '''투수''' || '''11 [[권휘|{{{#000000,#FFFFFF 권휘}}}]] · 15 [[구대성|{{{#000000,#FFFFFF 구대성}}}]] · 17 [[길나온|{{{#000000,#FFFFFF 길나온}}}]] · 19 {{{#000000,#FFFFFF 강화영}}} [br] 21 {{{#000000,#FFFFFF 박지웅}}} · 22 {{{#000000,#FFFFFF 이상학}}} · 28 [[배진선|{{{#000000,#FFFFFF 배진선}}}]] · 37 [[허건엽|{{{#000000,#FFFFFF 허건엽}}}]] [br] 39 [[장진용|{{{#000000,#FFFFFF 장진용}}}]] · 46 [[김진우(1983)|{{{#000000,#FFFFFF 김진우}}}]] · 50 [[이재곤|{{{#000000,#FFFFFF 이재곤}}}]] · 52 {{{#000000,#FFFFFF 류기훈}}} [br] 93 [[김병근|{{{#000000,#FFFFFF 김병근}}}]]''' || || '''포수''' || '''23 [[한성구|{{{#000000,#FFFFFF 한성구}}}]] · 26 [[신승원|{{{#000000,#FFFFFF 신승원}}}]] · 44 [[임태준|{{{#000000,#FFFFFF 임태준}}}]]''' || || '''내야수''' || '''1 {{{#000000,#FFFFFF 박휘연}}} · 5 [[국대건|{{{#000000,#FFFFFF 국대건}}}]] · 7 {{{#000000,#FFFFFF 이주호}}} [br] 10 [[이용욱(야구)|{{{#000000,#FFFFFF 이용욱}}}]]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16 {{{#000000,#FFFFFF 조한결}}} · 24 [[임종혁(야구선수)|{{{#000000,#FFFFFF 임종혁}}}]] [br] 25 [[최준석|{{{#000000,#FFFFFF 최준석}}}]] · 62 [[김승훈(야구선수)|{{{#000000,#FFFFFF 김승훈}}}]] · 86 [[유용목|{{{#000000,#FFFFFF 유용목}}}]]''' || || '''외야수''' || '''2 [[우동균|{{{#000000,#FFFFFF 우동균}}}]] · 8 [[노학준|{{{#000000,#FFFFFF 노학준}}}]] · 9 {{{#000000,#FFFFFF 장민도}}} [br] 34 [[서지호(야구선수)|{{{#000000,#FFFFFF 서지호}}}]] · 47 [[권광민|{{{#000000,#FFFFFF 권광민}}}]] · 51 {{{#000000,#FFFFFF 최윤혁}}}''' || ||<-2> '''
[[선수 겸 감독|{{{#FFFFFF {{{-2 선수 겸 감독}}}}}}]]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구대성|{{{#FFF {{{-2 구대성}}}}}}]]
[[선수 겸 감독|{{{#FFFFFF {{{-2 플레잉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유용목|{{{#FFF {{{-2 유용목}}}}}}]][br]
[[코치(스포츠)|{{{#FFFFFF {{{-2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FFF {{{-2 하상은}}}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2 안재백}}}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2 정병수}}}}}}''' ||



투수와 포수는 KBO 리그 소속팀에서 방출되거나 독립리그 등지에서 활동하던 선수가 많은 반면 야수진은 학교를 졸업하고 첫 프로에 데뷔하는 신인 선수들이 많다.
호주 리그는 최대 25명까지 로스터를 등록할 수 있다.[2] 연세대 출신 최윤혁이 당초 25인 로스터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햄스트링 부상으로 늦게 합류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1라운드는 24인 로스터로 경기를 치뤘다. 이 때문에 시드니 4연전 전패 이후, 투수 강화영과 배진선이 로스터 제외되고 최준석, 우동균, 허건엽, 최윤혁 4명이 추가되었다. 경기 출전 명단은 23인으로 이뤄지며, 나머지는 리저브 명단으로 빠지게 된다. 임대 만료의 경우 Reassigned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2.1. 코치진[편집]


등번호이름직책부임년도선수 활약
데뷔은퇴포지션
15구대성감독20181993(빙그레)[3]투수
79하상은2018
86유용목20182005(삼성)[4]내야수
안재백2018
정병수2018

코치들의 보직은 따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유용목은 수비코치, 하상은은 투수코치, 안재백, 정병수는 트레이닝 코치로 추정된다. 정병수 코치의 경우 물리치료사라고. 허구연이 코치진이 아마추어 출신으로 구성되었다고 코멘트했는데, 유용목 코치는 프로선수 출신이다. 당초 최준석이 플레잉 코치로 합류한다고 보도가 났으나, 선수로만 등록되었다. 다만 베테랑 선수로서 멘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 팀 매니저로 박시인, 현지 팀 오퍼레이션 매니저 믹 알디스 (Mick Alldis)가 매니지먼트 업무를 담당했다.

참고로, 김동주가 코치직을 제안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트라이아웃에도 '야수 평가자' 자격으로 참가했다. 다른 뉴스에 의하면 현재 맡고 있는 다른 일 때문에 코치 활동을 하긴 어려운 상태라고 한다.


2.2. 투수[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11권휘우투우타덕수고
15구대성1993좌투좌타
17길나온2012우투우타고양 위너스
19강화영2012우투우타연천 미라클
21박지웅2015우투우타
22이상학2015우투우타
28배진선2014좌투좌타의정부 신한대학교 피닉스
37허건엽2012우투우타
39장진용2004우투우타
46김진우2002우투우타
50이재곤2007우언우타
52류기훈2013좌투좌타고양 위너스
93김병근2012우투우타

구대성 감독이 10주차 선수로 등록되었는데, 실제로 등판할지는 미지수였지만 3차전 마지막 투수로 등판해 무실점 호투했다.[5]팀내 좌완이 류기훈 한명 뿐인 팀 사정을 고려한듯.


2.3. 포수[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23한성구2011우투우타고치 파이팅 독스
26신승원2013우투우타연천 미라클
44임태준2007우투우타


2.4. 내야수[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1박휘연2015우투우타성남 블루팬더스
5국대건우투우타세광고
7이주호우투우타송원대
10이용욱2014우투좌타
16조한결우투우타성남 블루팬더스
24임종혁2013우투우타
25최준석2001우투우타플레잉코치
62김승훈2015우투좌타
86유용목2005우투좌타플레잉코치

허구연 해설위원에 따르면 2019년 1월 중 배지환(피츠버그 파이리츠)이 잠시 합류할 수도 있다고 하지만 그 때면 시즌이 끝나가는 시점이라 굳이 합류시킬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결국 합류는 없었던 일이 됐다.


2.5. 외야수[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2[6]우동균2008우투좌타
8노학준좌투좌타물금고
9장민도좌투좌타고양 위너스
34서지호좌투좌타
47권광민2016좌투좌타컵스 산하 마이너
51최윤혁우투우타


3. 시즌 전 평가[편집]


선발이 가능한 투수 중에서 KBO 리그 경험이 있는 선수는 김진우(~2018), 장진용(~2017) 이 대표적이며 이변이 없는 한 이들이 선발진의 원투펀치를 맡아줘야 한다. 이외에 김병근(~2017), 이재곤(~2018) 등이 투수진의 중심을 잡아줘야 한다. 나머지 선수들은 독립리그나 고교야구에서 상당한 활약을 하던 선수들 위주로 구성되었으나, 마이너리그 출신 임대선수가 주축을 이루는 다른 팀들과의 경기에서 어느 정도의 경기력을 보일 지는 아직은 미지수로 보인다. 시즌 첫 4연전에서 선발 로스터가 장진용-이재곤-김진우-길나온으로 구성된 것이 밝혀졌다.

포수는 올해 방출된 SK 임태준 (퓨처스리그 38경기 59타석) 과 일본독립리그 고치 파이팅독스의 주전 한성구, 한화 출신의 신승원이 서로 나누어 맡을 것으로 보인다. 내야수는 로스터 내 숫자가 좀 적어서 아마 1루수는 타 포지션 출신 선수들이 좀 충원할 듯 하다. 2루수는 LG 출신 김승훈, 3루수는 KT 출신 박휘연과 고교야구 3루수/포수 였던 국대건이 경쟁할 듯 보인다. 조한결은 외야수 출신이지만 안산공고 시절 유격수를 본 적이 있다. 길나온이 투수로 표기되어 있는데 진짜로 포지션을 바꾼 것이 아닌 서류상의 오류라면 내야 전천후로 뛸 가능성이 높다. 외야수는 코너에서는 연대 출신 최윤혁과 경희대 우익수 출신의 위너스 장민도, 컵스 루키리그의 우/좌익수 권광민 등이 주축이 될 것으로 보여지며 중견수는 삼성에서 신고선수로 뛰었던 이용욱과 노장진의 아들로 잘 알려진 노학준 등이 뛸 것이다. 서지호는 고교 졸업 이후 한화 전력분석원을 하다가 들어온 케이스인데, 정확한 포지션은 알려지지 않았다.


4. 경기 일정, 결과[편집]


문서 참조.


5. 전적[편집]



5.1. 팀별 전적[편집]


질롱 코리아 팀별 전적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상대팀승률비고
퍼스 히트26.250
멜버른 에이시스26.250
애들레이드 바이트17.125
노스이스트 디비전
상대팀승률비고
오클랜드 투아타라22.500전 경기 홈
브리즈번 밴디츠04.000전 경기 홈
시드니 블루삭스04.000전 경기 원정
캔버라 캐벌리04.000전 경기 원정

빨간색은 최고 승률, 파란색은 최저 승률을 나타낸다.


5.2. 월별 전적[편집]


질롱 코리아 월별 전적
년월승률비고
18년 11월28.200
18년 12월312.200
19년 1월210.167

빨간색은 최고 승률, 파란색은 최저 승률을 나타낸다.


6. 그 외[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4:29:26에 나무위키 질롱 코리아/2018-19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질롱 코리아가 속한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기준[2] 30명인 것으로 나와 있었는데, 이는 코치진을 포함한 인원.[3] 2015년 이후 등판 기록이 없었으나, 18/19시즌 10라운드 3차전에 선수 복귀.[4] KBO에서는 2013시즌까지 KIA 소속. 18/19시즌 로스터에 등록되어 출장.[5] 참고로 구대성은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한 적이 없다. 선수로서 경기에 출장한 것은 2015시즌이 마지막.[6] 공식 사이트에서는 54번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경기에서 2번을 달고 나왔다.[7] 이후 중간불펜진으로 이동[이후] 중간불펜진으로 이동[8] 한국 시간 기준으로 평/토요일 17시, 일요일 11시 경기로, 퍼스 히트 원정경기에서는 3시간 후에 경기한다.[9] 참고로 연고지 질롱은 UCT+11:00(서머타임 적용)을 사용한다. 한국과는 2시간 빠른 시간대. 평상시에는 UCT+10:00을 사용하지만 리그 일정이 속한 10월 첫 일요일 오전 2시부터 4월 첫 일요일 오전 3시까지는 서머타임을 적용한다. 똑같이 뉴질랜드도 서머타임을 적용해 이 기간에는 +13:00을 적용한다. 평상시에는 +12:00.[10] 참고로 리그에 참가하는 호주 팀과 뉴질랜드 팀과의 시차는 최대 5시간이다.(UCT +08:00~+13:00) 작은 규모의 리그 치곤 꽤 넓은 편이다.